# 네트워크

분산되어있는 컴퓨터를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통신을 목적으로 실제 물리적으로 선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무선으로 연결됩니다. 네트워크에서 여러 장치들은 노드간의 연결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합니다.

 

# 인터넷

소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전세계 네트워크와 연결된 상태

- 여러가지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구성된 전세게에서 가장 큰 네트워크 통신망입니다.

-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합니다. (브라우저는 프로토콜 http를 통해 다양한 웹페이지에 접근)

-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 종단 시스템은 보통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의해 연결됩니다.

* 종단시스템 : pc나 스마트폰처럼 네트워크 송수신 주체

* ISP (Intenet Service Provider) : KT/SKT같은 통신사

- www는 인터넷을 사용해 웹과 관련된 데이터 공유하는 것

 

# 네트워크의 유형

LAN < WAN <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으로 일정 그룹의 지역 네트워크이며, 소규모로 묶이며 사설망 등을 구축해 연결됩니다.

WAN (Wide Area Network)

원거리 통신망으로 멀리있는 지역을 한데 묶은 네트워크이며, 넓은 범위를 연결합니다. (여러 LAN 대역들을 연결해 WAN을 구축합니다.)

 

 

# 네트워크 형태

[ Ring Topology ]

기기 끼리 연결된 형태로, 회선설치가 쉽지만, 장치 하나가 고장나면 그 장치로 통신이 불가능합니다.

[ Bus Topology ]

메인 회선에 기기를 연결해놓은 형태

[ Star Topology ]

하나의 중앙 장치에 여러 기기들이 연결된 형태이기 때문에, 중앙 장치가 고장나면 연결된 다른 장치들의 네트워크 통신이 다 끊기게 됩니다. LAN을 star형으로 많이 구축합니다.

[ Mesh Topology ]

여러 장치들이 서로 그물처럼 연결된 형태로, 통신이 가장 빠르지만 구현과 설치가 매우 복잡합니다. 하지만, 연결된 장치가 하나 고장나도 다른 장치들을 통해 우회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submarinecablemap.com

위의 그림처럼 전세계 인터넷 통신망이 mesh형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참고]

명령프롬프트(cmd)에 tracert 8.8.8.8을 쳐서 google과 어떻게 연결되어있는지 보면, 총 11개의 대역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google과 연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통신 방식

[ 유니캐스트 ]

특정 대상이랑만 1:1 통신

[ 멀티캐스트 ]

특정 다수와 1:N 통신

[ 브로드캐스트 ]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대상과 통신

 

 

#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기본 동작

요청(Request) 

전송하는 종단 장치에서 상대방에 서비스를 요청

인지(Indicate)

수신하는 장치에서 작업 요청(이벤트)를 확인

응답(Response)

수신하는 장치에서 요청받은 작업에 대해 적절히 응답

확인(Confirm)

전송 측에서 응답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확인

 

 

 

 

 

 

 

'Computer Science > Computer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link Layer  (0) 2022.08.09
프로토콜  (0) 2022.08.08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드라이버(2)  (0) 2022.07.15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드라이버(1)  (0) 2022.07.15
네트워크 모델  (0) 2022.07.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