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네트워크 모델

sonzwon 2022. 7. 6. 18:04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강의를 들으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 네트워크 모델

[ OSI 7 Layer ]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7개 계층으로 역할을 나눈 이론적 모델로, 각 계층별 역할을 통해 통신 규격(프로토콜)을 만족하면 OSI를 제대로 지원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부 하위계층은 하드웨어, 상위계층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있습니다.

 

[ TCP/IP ]

대표적으로 리눅스, 유닉스같은 초기 운영체제에서 서로 연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집합을 만든 것으로, OSI 7계층이 나오기 전 널리 사용되어 사실상 표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OSI 7계층은 TCP/IP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음)

 

[ 두 모델의 공통점과 차이점 ]

- 공통점

두 모델 모두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이며, 계층 간의 역할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 차이점

OSI 7Layer TCP/IP
7 계층 4 계층
역할기반 프로토콜 기반
통신전반에 대한 표준 역할(이론적) 데이터 전송 기술에 특화된 느낌(실무적)

 

 

# 역할 및 기능

7 Application Layer Application - 응용프로그램에서 서비스 수행
6 Presentation Layer - 인코딩 및 데이터 형식 차이 조절
5 Session Layer - 양 끝단의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제공
- ex. 전화처럼 양방향 송수신/ 무전기처럼 번갈아가면서/ 수신만/ 송신만
4 Transport Layer Transport - 포트번호를 이용한 프로세스-프로세스 연결 (양 끝 단의 사용자 들이 송수신에 있어 신뢰성 보장)
3 Network Layer Network - 논리주소(IP)를 통한 발신지-목적지 전송 ( 여러 개 지점을 거칠 때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
- 단위 : 패킷(Packet)
2 Datalink Layer Network Interface - 물리주소(MAC : 장치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노드-노드 연결 책임 (두 지점간의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
- 단위 : 프레임
1 Physical Layer - 전기 신호 책임 (컴퓨터에서 받아 들일 수 있는 정보체계로 바꾸는 역할)
  OSI 7 Layer TCP/IP  

 

2022.08.09 - [Study/computer network] - Datalink Layer

 

Datalink Layer

# Datalink Layer 데이터링크 계층은 같은 네트워크 대역 상의 노드끼리 데이터 전달의 책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데이터링크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에서만 통신할 때 사용합니다. 다른

sonzwon.tistory.com

 

 

- application과 함께 조합되는 프로토콜

    - ping - ICMP  , TFTP - UDP , FTP - TCP , DNS - UDP/TCP